비동맹 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강대국이나 블록에 속하지 않고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는 국가들의 연대체이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 자와할랄 네루, 수카르노, 가말 압델 나세르 등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에 반대하고 회원국들의 독립, 주권, 안보를 목표로 한다. 120개국 이상의 회원국을 보유하며, 유엔 회원국의 2/3를 차지한다. 냉전 종식 이후 그 의미가 퇴색되었으나, 다자주의, 평등, 상호 불가침 원칙을 강조하며 글로벌 사우스의 목소리를 높이고 국제 사회에서 회원국들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동맹 운동은 정상회의를 통해 주요 정책을 결정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개혁, 지속 가능한 개발, 미국 외교 정책 비판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동맹 운동 - G15
G15는 개발도상국 간 무역 및 투자 확대, 기술 협력 강화를 통해 경제 성장을 지원하고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 빈곤 퇴치 등 사회 개발 분야 협력을 목표로 하는 포럼이다. - 인도의 외교 정책 - 평화 5원칙
평화 5원칙은 영토와 주권 존중, 상호 불가침, 내정 불간섭, 평등과 호혜, 평화 공존을 내용으로 하는 국제 관계 원칙으로, 중·인도 협정에서 비롯되어 탈식민지 시대 규범으로 제시되었으나 중국 외교 정책의 근간으로 활용되며 비판적 시각도 있다. - 인도의 외교 정책 - 핵무기 선제 사용 금지
핵무기 선제 사용 금지는 핵무기를 먼저 사용하지 않는 정책으로, 핵전쟁 위험 감소와 핵 확산 억제에 기여하지만, 일부 국가들은 안보 상황에 따라 선제 사용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한국은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핵우산 정책에 의존하며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다.
비동맹 운동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비동맹 운동 |
로마자 표기 | BIdongmaeng Undong |
문화어 | 쁠럭불가담운동 |
영어 명칭 | Non-Aligned Movement, NAM |
설립일 | 1961년 9월 1일 |
설립 장소 |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조직 | |
회원국 | 120개국 |
옵서버 국가 | 20개국 |
국제 기구 | 10개 |
주요 의사 결정 기구 | 비동맹 국가 정상 회의 |
조정 사무국 위치 | 국제 연합 본부, 뉴욕 |
의장국 | 우간다 |
의장 |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비동맹 운동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창립 회의 | 제1차 비동맹 운동 정상 회의 |
주요 목표 | 강대국 블록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인 외교 정책 추구 제국주의, 식민주의, 인종차별 반대 국제 평화와 협력 증진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 지원 |
기타 | |
주요 활동 | 국제 정치 문제에 대한 공동 입장 표명 유엔 등 국제 무대에서 개발도상국들의 권익 옹호 남남 협력 강화 세계 평화와 안전에 기여 군축 및 핵무기 확산 반대 |
2. 역사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가 주도하여 1961년 유고슬라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비동맹 운동이 창설되었다. 2011년 기준으로 120개 회원국과 18개 참관국이 있다.
1979년 아바나 선언에서 천명된 비동맹 운동의 목표는 "강대국이나 블록에 대항할 뿐 아니라, 제국주의, 식민주의, 신식민주의, 인종주의, 모든 형태의 외국 침략, 점령, 지배, 간섭, 패권과 투쟁하여" "비동맹 국가들의 독립, 주권, 영토 통일, 안보"를 보장하는 것이었다.[115] 이들은 유엔 회원국 중 2/3를 차지하며, 대부분 제3세계의 개발도상국에 속하는 세계 인구의 55%를 점하고 있다.[116]
유고슬라비아, 인도, 가나, 파키스탄, 알제리, 리비아, 스리랑카, 이집트, 인도네시아, 쿠바,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1994년 이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란, 말레이시아 등이 회원국이었다. 브라질은 공식 회원국은 아니었으나, 비동맹 운동의 목표에 동조하며 정상 회담에 참관단을 자주 보냈다.
비동맹 운동은 북대서양 조약기구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처럼 긴밀하게 단결하고자 했으나, 회원국 상당수가 강대국과 사실상 동맹 관계를 맺으면서 응집력이 약화되었다. 또한,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등 회원국 간의 분쟁도 발생했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계기로 내부 분열이 심화되었는데, 소련 동맹국들은 침공을 지지했지만, 이슬람권 국가들을 비롯한 다른 회원국들은 그렇지 않았다.
“비동맹”이라는 용어는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저우언라이와의 회담에서 제시된 평화 5원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가 스리랑카 콜롬보에서의 연설에서 사용했다.[102] 1955년에는 아시아·아프리카 회의(반둥 회의)에서 평화 10원칙으로 발전했다. 1961년 제1차 회의의 베오그라드 선언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대표권 지지와 쿠바 혁명을 일으킨 피델 카스트로 정권 존중 등이 제시되었다.[103]
미국과 소련의 냉전 구조가 과거 식민지였던 지역에서의 패권 다툼을 초래하고, 인도차이나 전쟁, 한국 전쟁과 같은 실제 군사 충돌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비동맹주의는 반제국주의, 반식민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1986년, 제8차 하라레 정상회의에서 이 운동의 목표는 군사 블록의 확대를 막고, 여러 민족의 민족 자결권을 보호하며, 유엔 등에서 평등한 국제 협력과 대화를 증진함으로써 새롭고 공정하며 민주적인 국제 질서를 수립하는 것이 역사적 사명이라고 규정했다.[104]
1960년 아프리카에서 17개국이 독립함에 따라 국제 사회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발언권은 더욱 강화되었다. 1961년 9월 베오그라드에서 제1차 비동맹국가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으며 초기 참가국은 25개국이었다. 2011년 5월 외무장관 회의[105]에는 피지와 아제르바이잔이 가입하여 120개국이 되었다.
비동맹 운동에 참여하는 국가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 소련, 중국과 군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국가들이 있으며,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아프가니스탄 분쟁 등의 대리 전쟁에서는 비동맹 국가들이 조화로운 태도를 취하지 못하여 “비동맹”의 실체가 문제될 때도 있었다.
옵서버 참가 단체에는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일본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연대위원회 등이 있다.
2. 1. 기원과 냉전
'비동맹'이라는 용어는 1950년 유엔에서 인도와 유고슬라비아가 한국 전쟁에 관련된 다국적 동맹 어느 쪽에도 가담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13] 1955년 반둥 회의에서 채택된 평화 공존의 5원칙을 바탕으로, 1956년 유고슬라비아의 브리오니 섬에서 요시프 브로즈 티토, 자와할랄 네루, 가말 압델 나세르가 브리오니 선언에 서명하면서 비동맹 운동이 공식화되었다.
1961년 9월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주도로 베오그라드에서 첫 번째 비동맹 국가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16]
비동맹 운동은 냉전 구도를 깨기 위해 창설되었으므로,[117] 냉전 종식 이후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2. 2. 쿠바의 역할
1970년대 쿠바는 비동맹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했다. 쿠바는 군사 자문단을 파견하고 경제·사회 개혁 프로그램을 수립했다. 1976년 비동맹 운동 세계 회의는 쿠바의 국제주의를 칭찬하며, "앙골라 국민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주의 정권과 그 동맹국의 팽창주의적이고 식민주의적인 전략을 좌절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9] 1979년 아바나에서 열린 제6차 비동맹 정상회의에서 피델 카스트로가 의장을 맡아 사실상 비동맹 운동의 대변인이 되었다. 1979년 9월 회의는 쿠바의 위상이 절정에 달한 시점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참석자들은 쿠바가 냉전에서 소련 진영과 연대하지 않았다고 믿었지만, 모든 참석자가 그렇게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19]그러나 1979년 12월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내전에 개입했다. 아프가니스탄은 비동맹 운동의 회원국이었다. 유엔에서 비동맹 회원국들은 소련을 규탄하는 결의안에 대해 찬성 56표, 반대 9표, 기권 26표로 투표했다. 쿠바는 소련을 지지하며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카스트로가 비동맹 운동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대신 침묵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쿠바는 비동맹 운동에서의 지도력과 명성을 잃었다.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두고 비동맹 운동은 심각하게 분열되었는데, 특히 이슬람 국가들이 소련의 개입을 비난했다.[20]
2. 3. 냉전 이후
냉전 종식 후 비동맹 운동은 새로운 국제 질서 속에서 역할 재정립을 해야 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는 운동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21][22][24] 유고슬라비아의 후계 국가들은 비동맹 운동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슬로베니아, 북마케도니아, 코소보를 제외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는 옵서버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또 다른 창립 회원국인 인도는 비동맹 운동에 대한 강조를 약화시킨 것으로 보인다.[23] 1995년과 1998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스타리카의 회원 가입 신청은 거부되었다.[24] 2004년에는 몰타와 키프로스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비동맹 운동 회원 자격을 상실했다. 2011년에 아제르바이잔과 피지가 가입하여 가장 최근 회원국이 되었으며, 벨라루스와 함께 유럽 대륙에서 비동맹 운동의 유일한 회원국으로 남아 있다.비동맹 운동은 다자주의, 평등, 상호 불가침의 원칙을 강조하며 글로벌 사우스의 목소리를 강화하고, 국제적 차원에서 회원국의 필요를 증진시키며 선진국과의 협상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수단이 되고자 노력했다. 회원국 간의 협력과 단결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25] 조직의 규모, 의제, 충성심의 차이로 인해 결속력 유지가 문제로 남아 있다. 기본 원칙에 대한 합의는 순조로웠지만, 특정 국제 문제에 대해 결정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은 드물었으며, 비판이나 지지를 표명하는 것을 선호했다.[26]
비동맹 운동은 여전히 자신에게 역할이 있다고 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들이 일극 체제[27]에서 착취당하고 소외되어 있다고 보며, 서구의 패권주의와 신식민주의에 맞서 재편성되었다. 외국 점령, 내정 간섭, 공격적인 일방적 조치에 반대하며, 세계화로 인한 불평등과 신자유주의 정책의 영향 등 회원국들이 직면한 사회경제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동맹 운동은 경제적 저개발, 빈곤, 사회 불의를 평화와 안보에 대한 증가하는 위협으로 규정했다.[27]
2012년 제16차 비동맹 운동 정상회의(16th NAM summit)는 이란 테헤란에서 개최되었으며,[28] 150개국 이상의 대표들이 참석했다.[29] 이 회의에서 이란은 이집트로부터 비동맹 운동 의장직을 인수했다.[30] 2016년에는 베네수엘라에서 제17차 비동맹 운동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31][32] 2019년 제18차 비동맹 운동 정상회의(18th NAM summit)를 개최한 아제르바이잔은 2024년 1월 우간다 캄팔라에서 열린 제19차 비동맹 운동 정상회의(19th NAM summit)가 열릴 때까지 비동맹 운동 의장직을 유지한다.[33]
3. 조직 구조 및 회원
비동맹 운동은 특정 지정학적/군사적 블록에 가담하지 않으려는 국가들의 모임으로, 엄격한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다.[34] 1996년 '카르타헤나 방법론 문서'에서 기본적인 조직 체계가 정의되었으며,[35] 비동맹 국가 정상회의가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다. 의장국은 정상회의 개최국이 맡으며, 매 회의마다 바뀐다.[35]
비동맹 운동 가입 요건은 유엔의 핵심 신념과 일치하며, 후보국은 1955년 반둥 회의에서 채택된 10가지 원칙[35]을 준수해야 한다. 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 기본적인 인권과 유엔 헌장의 목적 및 원칙 존중
- 모든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 존중
- 민족 독립 운동 인정
- 모든 인종과 크고 작은 모든 국가의 평등 인정
- 다른 국가의 내정 간섭 금지
- 유엔 헌장에 따른 자위권 존중
- 침략 행위나 위협, 무력 사용 자제
- 유엔 헌장에 따른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
- 상호 이익과 협력 증진
- 정의와 국제적 의무 존중
3. 1. 조직 구조
비동맹 운동은 매우 엄격한 조직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34] 몇 가지 기본적인 조직 체계는 1996년 '카르타헤나 방법론 문서'에서 정의되었다.[35] 비동맹 국가 정상회의는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다. 의장직은 국가 간에 순환하며, 정상회의를 주최하는 국가로 매 정상회의마다 바뀐다.[35]순서[109] | 초상 | 이름 | 국가 | 정당 | 취임 년도 | 퇴임 년도 |
---|---|---|---|---|---|---|
1 | ![]()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1961년 | 1964년 |
2 | ![]() | 가말 압델 나세르 | 아랍 연합 공화국 | Arab Socialist Union (Egypt)|아랍 사회주의 연합영어 | 1964년 | 1970년 |
3 | ![]() | 케네스 카운다 | 잠비아 | United National Independence Party|통일 민족 독립당영어 | 1970년 | 1973년 |
4 | ![]() | 후아리 부메디엔 | 알제리 | Revolutionary Council (Algeria)|혁명 평의회영어 | 1973년 | 1976년 |
5 | ![]() |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 스리랑카 | 스리랑카 자유당 | 1976년 | 1977년 |
6 | ![]() | 주니어스 리차드 자야와르데나 | 스리랑카 | 통일국민당 | 1977년 | 1978년 |
7 | ![]() | 라나싱헤 프레마다사 | 스리랑카 | 통일국민당 | 1978년 | 1979년 |
8 | ![]() | 피델 카스트로 | 쿠바 | 쿠바 공산당 | 1979년 | 1983년 |
9 | ![]() | 인디라 간디 | 인도 | 인도국민회의 | 1983년 | 1984년 |
10 | ![]() | 라지브 간디 | 인도 | 인도국민회의 | 1984년 | 1986년 |
11 | ![]() | 로버트 무가베 | 짐바브웨 | Zimbabwe African National Union – Patriotic Front|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동맹 애국전선영어 | 1986년 | 1989년 |
12 | ![]() | 야네즈 드르노브셰크 |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1989년 | 1990년 |
13 | ![]() | 보리사브 요비치 |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사회당 | 1990년 | 1991년 |
14 | ![]() | 스티에판 메시치 | 유고슬라비아 | 크로아티아 민주 동맹 | 1991년 | 1991년 |
15 | ![]() | 브랑코 코스티치 | 유고슬라비아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 | 1991년 | 1992년 |
16 | 도브리차 초시치 | 유고슬라비아 | 무소속 | 1992년 | 1992년 | |
17 | ![]() | 수하르토 | 인도네시아 | 무소속 | 1992년 | 1995년 |
18 | ![]() | 에르네스토 삼페르 | 콜롬비아 | Colombian Liberal Party|콜롬비아 자유당영어 | 1995년 | 1998년 |
19 | ![]() | 안드레스 파스트라나 아랑고 | 콜롬비아 | Colombian Conservative Party|콜롬비아 보수당영어 | 1998년 | 1998년 |
20 | ![]() | 넬슨 만델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프리카 민족 회의 | 1998년 | 1999년 |
21 | ![]() | 타보 음베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프리카 민족 회의 | 1999년 | 2003년 |
22 | ![]() | 마하티르 모하마드 | 말레이시아 | 통일 말레이 국민 조직 | 2003년 | 2003년 |
23 | ![]() |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 | 말레이시아 | 통일 말레이 국민 조직 | 2003년 | 2006년 |
24 | ![]() | 피델 카스트로 | 쿠바 | 쿠바 공산당 | 2006년 | 2008년 |
25 | ![]() | 라울 카스트로 | 쿠바 | 쿠바 공산당 | 2008년 | 2009년 |
26 | ![]() | 호스니 무바라크 | 이집트 | 국민민주당 | 2009년 | 2011년 |
27 | ![]() | 무함마드 후세인 탄타위 | 이집트 | 무소속 | 2011년 | 2012년 |
28 | ![]() | 무함마드 무르시 | 이집트 | 자유와 정의당 | 2012년 | 2012년 |
29 | ![]() | 마흐무드 아마디네자드 | 이란 | Alliance of Builders of Islamic Iran|이란 이슬람 건설자 동맹영어 | 2012년 | 2013년 |
30 | ![]() | 하산 로하니 | 이란 | Moderation and Development Party|건설의 간부당영어 | 2013년 | 2016년 |
31 | ![]() | 니콜라스 마두로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통일 사회당 | 2016년 | 2019년 |
32 | ![]() | 일함 알리예프 | 아제르바이잔 | 신 아제르바이잔당 | 2019년 | 현직 |
3. 2. 회원
비동맹 운동 가입 요건은 유엔의 핵심 신념과 일치한다. 현재 요건은 후보국이 1955년 반둥 원칙[35] 10가지에 따라 관행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인권과 유엔 헌장의 목적 및 원칙 존중
- 모든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 존중
- 민족 독립 운동 인정
- 모든 인종의 평등과 크고 작은 모든 국가의 평등 인정
- 다른 국가의 내정 간섭 금지
- 유엔 헌장에 따라 단독 또는 집단적으로 자국을 방어할 각국의 권리 존중
- 어떤 국가의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대한 침략 행위 또는 위협이나 무력 사용 자제
- 유엔 헌장에 따라 모든 국제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
- 상호 이익과 협력 증진
- 정의와 국제적 의무 존중
3. 3. 회원국 현황
비동맹 운동은 특정 지정학적/군사적 블록에 속하지 않으려는 국가들의 모임으로, 엄격한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지는 않다.[34] 1996년 '카르타헤나 방법론 문서'에서 기본적인 조직 체계가 정의되었으며,[35] 비동맹 국가 정상회의가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다. 의장국은 정상회의 개최국이 맡으며, 매 회의마다 바뀐다.[35]비동맹 운동 가입 요건은 유엔의 핵심 신념과 일치하며, 후보국은 1955년의 10가지 "반둥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35] 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 기본적인 인권과 유엔 헌장의 목적 및 원칙 존중
- 모든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 존중
- 민족 독립 운동 인정
- 모든 인종과 크고 작은 모든 국가의 평등 인정
- 다른 국가의 내정 간섭 금지
- 유엔 헌장에 따른 자위권 존중
- 침략 행위나 위협, 무력 사용 자제
- 유엔 헌장에 따른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
- 상호 이익과 협력 증진
- 정의와 국제적 의무 존중
3. 3. 1. 현 회원국
현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118][119]
국가 | 가입 연도 | 지역 | 비고 |
---|---|---|---|
아제르바이잔 | 2011년 | 아시아 | |
아프가니스탄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아랍에미리트 | 1970년 | 아시아 | |
알제리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제4차 정상회의 개최지 |
앙골라 | 1964년 | 아프리카 | |
앤티가 바부다 | 2006년 | 아메리카 | |
예멘 | 1961년 | 아시아 | 예멘 왕국으로서 창립 회원국. 이후 예멘 아랍 공화국이 되었고,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은 1970년 가입. 1990년 남북 통일. |
이라크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이란 | 1979년 | 아시아 | 제16차 정상회의 개최지 |
인도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제7차 정상회의 개최지 |
인도네시아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제10차 정상회의 개최지 |
우간다 | 1964년 | 아프리카 | |
우즈베키스탄 | 1992년 | 아시아 | |
에콰도르 | 1983년 | 아메리카 | |
이집트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제2차, 제15차 정상회의 개최지 |
에티오피아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에리트레아 | 1993년 | 아프리카 | |
오만 | 1973년 | 아시아 | |
가이아나 | 1970년 | 아메리카 | |
카타르 | 1973년 | 아시아 | |
가봉 | 1970년 | 아프리카 | |
카메룬 | 1964년 | 아프리카 | |
감비아 | 1973년 | 아프리카 | |
캄보디아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가나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카보베르데 | 1976년 | 아프리카 | |
기니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기니비사우 | 1976년 | 아프리카 | |
쿠바 | 1961년 | 아메리카 | 창립 회원국, 제6차, 제14차 정상회의 개최지 |
과테말라 | 1992년 | 아메리카 | |
쿠웨이트 | 1964년 | 아시아 | |
그레나다 | 1979년 | 아메리카 | |
케냐 | 1964년 | 아프리카 | |
코모로 | 1976년 | 아프리카 | |
콜롬비아 | 1983년 | 아메리카 | 제11차 정상회의 개최지 |
콩고 공화국 | 1964년 | 아프리카 | |
콩고 민주 공화국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코트디부아르 | 1973년 | 아프리카 | |
사우디아라비아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상투메 프린시페 | 1976년 | 아프리카 | |
잠비아 | 1964년 | 아프리카 | 제3차 정상회의 개최지 |
시에라리온 | 1964년 | 아프리카 | |
지부티 | 1983년 | 아프리카 | |
자메이카 | 1970년 | 아메리카 | |
시리아 | 1964년 | 아시아 | |
싱가포르 | 1970년 | 아시아 | |
짐바브웨 | 1979년 | 아프리카 | 제8차 정상회의 개최지 |
수리남 | 1983년 | 아메리카 | |
스리랑카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제5차 정상회의 개최지 |
에스와티니 | 1970년 | 아프리카 | |
수단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세네갈 | 1964년 | 아프리카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2006년 | 아메리카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2003년 | 아메리카 | |
세인트루시아 | 1983년 | 아메리카 | |
세이셸 | 1976년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태국 | 1993년 | 아시아 | |
탄자니아 | 1964년 | 아프리카 | |
차드 | 1964년 | 아프리카 | |
튀니지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칠레 | 1973년 | 아메리카 | |
도미니카 공화국 | 2000년 | 아메리카 | |
도미니카 연방 | 2006년 | 아메리카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970년 | 아메리카 | |
투르크메니스탄 | 1995년 | 아시아 | |
토고 | 1964년 | 아프리카 | |
나이지리아 | 1964년 | 아프리카 | |
나미비아 | 1979년 | 아프리카 | |
니카라과 | 1979년 | 아메리카 | |
니제르 | 1973년 | 아프리카 | |
네팔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아이티 | 2006년 | 아메리카 | |
파키스탄 | 1979년 | 아시아 | |
파나마 | 1976년 | 아메리카 | |
바누아투 | 1983년 | 오세아니아 | |
바하마 | 1983년 | 아메리카 | |
파푸아뉴기니 | 1992년 | 오세아니아 | |
바베이도스 | 1983년 | 아메리카 | |
팔레스타인 | 1976년 | 아시아 | |
방글라데시 | 1973년 | 아시아 | |
바레인 | 1973년 | 아시아 | |
피지 | 2011년 | 오세아니아 | |
필리핀 | 1992년 | 아시아 | |
부르키나파소 | 1973년 | 아프리카 | |
브루나이 | 1992년 | 아시아 | |
부룬디 | 1964년 | 아프리카 | |
부탄 | 1973년 | 아시아 | |
베트남 | 1973년 | 아시아 | 베트남 민주 공화국으로서. 1976년 남북 통일. |
베냉 | 1964년 | 아프리카 | |
베네수엘라 | 1989년 | 아메리카 | 제17차 정상회의 개최지 |
벨라루스 | 1998년 | 유럽 | |
벨리즈 | 1976년 | 아메리카 | |
페루 | 1973년 | 아메리카 | |
보츠와나 | 1970년 | 아프리카 | |
볼리비아 | 1979년 | 아메리카 | |
온두라스 | 1993년 | 아메리카 | |
마다가스카르 | 1973년 | 아프리카 | |
말라위 | 1964년 | 아프리카 | |
말리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말레이시아 | 1970년 | 아시아 | 제13차 정상회의 개최지 |
미얀마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모잠비크 | 1976년 | 아프리카 | |
몰디브 | 1976년 | 아시아 | |
모로코 | 1961년 | 아프리카 | 창립 회원국 |
몽골 | 1991년 | 아시아 | |
모리셔스 | 1973년 | 아프리카 | |
모리타니 | 1964년 | 아프리카 | |
요르단 | 1964년 | 아시아 | |
라오스 | 1964년 | 아시아 | |
리비아 | 1964년 | 아프리카 | |
라이베리아 | 1964년 | 아프리카 | |
르완다 | 1970년 | 아프리카 | |
레소토 | 1970년 | 아프리카 | |
레바논 | 1961년 | 아시아 | 창립 회원국 |
적도기니 | 1970년 | 아프리카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1964년 | 아프리카 | |
동티모르 | 2003년 | 아시아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4년 | 아프리카 | 제12차 정상회의 개최지 |
북한 | 1976년 | 아시아 |
3. 3. 2. 이전 회원국
- 아르헨티나 (1973년–1991년)[121][88][89]
- 키프로스 (1961년–2004년)[122][123][83][87]
- 몰타 (1973년–2004년)[123][87]
- 유고슬라비아 (1961년–1992년)[124][125][21][84][85]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포함[126])
- 예멘(북예멘) (1961년–1990년)[86]
- 예멘(남예멘) (1970년–1990년)[86]
3. 3. 3. 옵서버
다음은 비동맹 운동의 옵서버 국가 및 기구들이다.[118][4]국가 | 기구 |
---|---|
4. 정책 및 이념
비동맹 운동은 다양한 이념을 가진 정부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세계 평화와 안보에 대한 공통된 약속으로 통합되어 있다.[39] 1983년 3월 뉴델리에서 열린 제7차 정상회의에서 이 운동은 스스로를 "역사상 가장 큰 평화 운동"이라고 묘사했으며, 군축에도 중요한 비중을 두고 있다.[39] 1956년 브리오니 회의에서는 평화를 위한 투쟁과 군축 노력 사이에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했다.[39]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비동맹 운동은 신국제경제질서(NIEO)와 신세계 정보통신질서(NWICO)를 위한 캠페인을 후원했다. 신세계 정보통신질서를 위한 캠페인은 1975년에 비동맹 통신사 풀을 촉발했고, 2005년에 NAM 뉴스 네트워크로 전환되었다.[40]
또한, 비동맹 운동은 다자적이며 상호 이익을 제공하는 협력 정책을 지지한다. 대부분의 회원국은 유엔 회원이기도 하다. 비동맹 운동은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고, 팔레스타인 민족주의를 지지하며, 로디지아와 남아프리카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게릴라 운동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이념적 갈등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41]
“비동맹”이라는 용어는 1954년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가 중국의 저우언라이와의 회담에서 제시된 평화 5원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실론 콜롬보에서의 연설에서 사용되었다.[102] 이듬해 반둥 회의에서 평화 10원칙으로 발전했으며, 1961년 제1차 회의의 베오그라드 선언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대표권 지지와 쿠바 혁명을 일으킨 피델 카스트로 정권 존중 등이 제시되었다.[103]
이 운동은 반제국주의·반식민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1986년 제8차 하라레 정상회의에서는 군사 블록 확대를 막고, 민족 자결권을 보호하며, 유엔 등에서 평등한 국제 협력과 대화를 증진함으로써 새롭고 공정하며 민주적인 국제 질서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규정했다.[104]
4. 1. 평화와 안보
비동맹 운동은 세계 평화와 안보에 대한 공약으로 통합되어 있다. 1983년 3월 뉴델리에서 열린 제7차 정상회의에서 이 운동은 스스로를 "역사상 가장 큰 평화 운동"[39]이라고 묘사했다. 이 운동은 군축[39]에도 같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평화를 위한 투쟁과 군축 노력 사이에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했다.[39]4. 2. 경제 협력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비동맹 운동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상업 관계 재편을 위한 신국제경제질서(NIEO)와 그 문화적 파생물인 신세계 정보통신질서(NWICO)를 위한 캠페인을 후원했다. 이 중 신세계 정보통신질서를 위한 캠페인은 독자적으로 1975년에 설립된 통신 협력을 위한 비동맹 이니셔티브인 비동맹 통신사 풀(Non-Aligned News Agencies Pool)을 촉발했으며, 이는 2005년에 NAM 뉴스 네트워크(NAM News Network)로 전환되었다.[40]4. 3. 다자주의와 국제 협력
비동맹 운동은 다자주의와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상호 이익을 제공하는 협력 정책과 관행을 지지한다. 비동맹 운동 회원국 대부분은 유엔 회원국이기도 하다. 두 조직 모두 평화적인 협력을 표방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지만, 비동맹 운동(NAM)이 다자간 합의에서 거둔 성공은 더 크고 서구 및 선진국이 주도하는 유엔에 의해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40]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아프리카의 우려는 아랍-아시아의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에 대한 우려와 관련이 있으며,[40] 이 분야에서의 다자간 협력은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비동맹 운동은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에 대한 극심한 반대와 로디지아와 남아프리카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게릴라 운동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여 존재하는 동안 다양한 이념적 갈등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41]
4. 4. 문화 다양성과 인권
비동맹 운동은 인권과 사회 정의의 보편성을 인정하지만, 문화적 동질화에는 강하게 반대한다.[63] 비동맹 운동은 문화 다양성 보호와 특정 지역에서 인권을 정의하는 종교적, 사회문화적, 역사적 특수성에 대한 관용을 촉구한다.[64]5. 현재 활동 및 입장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 등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25개국이 참여했다. 2011년에는 피지와 아제르바이잔이 가입하여 회원국이 120개국으로 늘어났다.[105]
미국과 소련의 냉전 구조가 과거 식민지였던 지역에서 패권 다툼을 일으키고, 인도차이나 전쟁과 한국 전쟁 같은 실제 군사 충돌을 초래한 것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반제국주의, 반식민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1986년 제8차 하라레 정상회의에서 비동맹 운동은 군사 블록 확대를 막고, 여러 민족의 민족 자결권을 보호하며, 유엔 등에서 평등한 국제 협력과 대화를 증진하여 새롭고 공정하며 민주적인 국제 질서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104]
그러나 회원국 중에는 미국, 소련, 중국과 군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국가들이 있었고,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아프가니스탄 분쟁 등의 대리 전쟁에서 비동맹 국가들이 조화로운 태도를 보이지 못해 '비동맹'의 실체가 문제 되기도 했다.
옵서버 참가 단체로는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일본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연대위원회 등이 있다.
5.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개혁
이 운동은 유엔 구조와 권력 역학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개혁을 옹호해 왔다. 이들은 유엔이 강대국들에 의해 이 운동의 원칙을 위반하는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이 운동은 "비동맹" 국가들의 대표성과 권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여러 권고안을 제시했다. 제안된 유엔 개혁은 유엔 의사 결정의 투명성과 민주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가장 왜곡되고 비민주적이며 개혁이 필요한 요소로 간주된다.[42]5. 2. 푸에르토리코와 서사하라 자결권
1961년 이후, 비동맹 운동은 유엔에서 푸에르토리코의 자결 문제에 대한 논의를 지지해 왔다. 1973년 이후로는 서사하라 자결 문제에 대한 유엔에서의 논의도 지지해 왔다.[43] 2009년 샤름 엘셰이크 회의에서 비동맹 운동은 사하라위 사람들이 어떠한 선택을 하든 그들의 자결을 지지한다고 재확인했으며, 당사자 간의 직접 대화를 환영하고, 사하라위 문제에 대한 유엔의 책임을 상기시켰다.[44]5. 3. 지속 가능한 발전
비동맹 운동은 지속 가능한 개발 원칙과 새천년 개발 목표 달성을 공약했지만, 국제 사회가 개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지 못했고 각 회원국의 주권적 개발권을 침해했다고 본다. 특히 세계화, 채무 부담, 불공정 무역 관행, 외국 원조 감소, 원조 제공국의 조건부 원조, 국제 금융 의사 결정 과정에서의 민주주의 부족 등을 개발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한다.[45]5. 4. 미국 외교 정책 비판
최근 몇 년 동안 비동맹 운동은 미국의 외교 정책, 특히 2003년 이라크 침공과 테러와의 전쟁을 비판해왔다. 또한 미국이 이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계획을 억제하려는 시도와 다른 행동들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비동맹 운동의 일부 회원국들은 이러한 미국의 행동이 작은 국가들의 주권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46]김영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정상회담에서 "미국은 다른 나라들이 평화적인 핵 활동을 할 정당한 권리조차 박탈하려 한다"고 비판했다.[46]
5. 5. NAM 센터
비동맹 운동 남남기술협력센터(NAM CSSTC)는 개발도상국의 국가 역량 강화와 집단적 자립을 돕는 정부간 기구이다.[47] 이 센터는 비동맹 운동의 노력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48] 남남기술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해 있다.[49]이 기구는 개발도상국이 지속가능한 인적 개발이라는 개발 목표를 달성하고, 국제 관계에서 동등한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NAM CSSTC의 주요 기구는 이사회이다.[50][51] 이사회는 인도네시아 외교부 차관인 마헨드라 시레가르(Mahendra Siregar)의 지휘 아래 자문위원회와 협의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구성원으로는 브루나이 대사, 쿠바 대사,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사 등이 포함된다. NAM CSSTC 행정 책임자는 로니 프라세티오 율리안토로(Ronny Prasetyo Yuliantoro) 국장이 맡고 있으며, 현직 인도네시아 외교관이자 이란 주재 인도네시아 대사로서 2018년 7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했다.[52] 이 기구는 인도네시아의 자발적 기여금으로 운영된다.[53][54] NAM CSSTC의 직원들은 행정 책임자를 제외하고는 다른 정부 기관과 관련이 없는 상근 직원들로 구성되며, 행정 책임자는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 각 부처의 1급 또는 2급 직원 중에서 임명된다. 일각에서는 이 기구가 비동맹 운동 회원국의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노력이라고 평가한다.[55]
6. 정상회의
비동맹국가 정상 또는 정부 수반 회의는 비동맹 운동 내 주요 회의로, 수년마다 개최된다.[67]
날짜 | 개최국 | 개최 도시 | 슬로건 | |
---|---|---|---|---|
제1차 | 1961년 9월 1일 ~ 6일 | -- | 벨그라드 | |
제2차 | 1964년 10월 5일 ~ 10일 | -- | 카이로 | |
제3차 | 1970년 9월 8일 ~ 10일 | -- | 루사카 | |
제4차 | 1973년 9월 5일 ~ 9일 | -- | 알제 | |
제5차 | 1976년 8월 16일 ~ 19일 | -- | 콜롬보 | |
제6차 | 1979년 9월 3일 ~ 9일 | -- | 하바나 | |
제7차 | 1983년 3월 7일 ~ 12일 | -- | 뉴델리 | |
제8차 | 1986년 9월 1일 ~ 6일 | -- | 하라레 | |
제9차 | 1989년 9월 4일 ~ 7일 | -- | 벨그라드 | |
제10차 | 1992년 9월 1일 ~ 6일 | -- | 자카르타 | |
제11차 | 1995년 10월 18일 ~ 20일 | -- | 카르타헤나 | |
제12차 | 1998년 9월 2일 ~ 3일 | -- | 더반 | |
제13차 | 2003년 2월 20일 ~ 25일 | -- | 쿠알라룸푸르 | |
제14차 | 2006년 9월 15일 ~ 16일 | -- | 하바나 | |
제15차 | 2009년 7월 11일 ~ 16일 | -- | 샤름엘셰이크 | 평화와 발전을 위한 국제 연대 |
제16차 | 2012년 8월 26일 ~ 31일 | -- | 테헤란 | 공동 세계 거버넌스를 통한 지속적인 평화 |
제17차 | 2016년 9월 13일 ~ 18일 | -- | 포르라마르 | 평화, 주권 및 발전을 위한 연대 |
제18차 | 2019년 10월 25일 ~ 26일[68] | -- | 바쿠 | 현대 세계의 도전에 대한 공동적이고 적절한 대응을 보장하기 위한 반둥 원칙의 수호[2] |
제19차 | 2024년 1월 15일 ~ 20일[69] | --[70] | 캄팔라 | 공유된 세계적 풍요를 위한 협력 심화[71] |
참조
[1]
웹사이트
Coordinating Bureau of the Non-Aligned Countries UIA Yearbook Profile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https://uia.org/s/or[...]
2020-07-18
[2]
웹사이트
18th Summit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of Non-Aligned Movement gets underway in Baku
https://www.chinadai[...]
2019-12-26
[3]
웹사이트
Non-Aligned Movement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Belarus
https://mfa.gov.by/e[...]
2023-11-24
[4]
웹사이트
NAM Members & Observers
https://web.archive.[...]
2019-03-20
[5]
웹사이트
About NAM
https://web.archive.[...]
Non Aligned Movement
2019-03-20
[6]
서적
Jawaharlal Nehru.: an autobiography.
Penguin Books
2004
[7]
웹사이트
Non-Aligned Movement Definition, Miss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7-10
[8]
논문
'A World of Illusion': The Legacy of Empire in India's Foreign Relations, 1947-62.
[9]
서적
Jugoslavija 1918–1988: Tematska zbirka dokumenata
Izdavačka radna organizacija "Rad"
2018-04-11
[10]
웹사이트
Fidel Castro speech to the UN in his position as chairman of the non-aligned countries movement 12 October 1979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Pakistan & Non-Aligned Movement
http://www.pakboi.go[...]
Board of Investment– Government of Pakistan
2003
[12]
간행물
A New Cold War May Call for a Return to Nonalignment
https://foreignpolic[...]
Graham Holdings Company
2022-07-01
[13]
서적
Tito
Profil
2020
[14]
논문
Respite from Disgraceful NDA Foreign Policy
2004-06
[15]
서적
Afghanistan in World Politics: (a Study of Afghan-U.S. Relations)
https://books.google[...]
Gyan Publishing House
2017-01-31
[16]
웹사이트
Belgrade declaration of non-aligned countries
https://web.archive.[...]
Egyptian presidency website
1961-09-06
[17]
웹사이트
Fifth conference of heads of state or Government of non-aligned nations
https://web.archive.[...]
Egyptian presidency website
1961-09-06
[18]
서적
Land and Maritime Zones of Peace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Oxford: Clarendon Pres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Fidel Castro
[20]
서적
The annual register : a record of world events 1979
[21]
웹사이트
The Non-Aligned Movement: Member States
https://web.archive.[...]
1998-09-02
[22]
뉴스
Yugoslavia casts shadow over non-aligned summit
https://web.archive.[...]
1992-09-02
[23]
서적
The State and the Grassroots: Immigrant Transnational Organizations in Four Continent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5-07-01
[24]
서적
Policymaking and prosperity: a multinational anthology
Lexington Books
[25]
웹사이트
Putting Differences Aside
http://www.ipsterrav[...]
2006-09-18
[26]
뉴스
Profile: Non-Aligned Movement
http://news.bbc.co.u[...]
2009-08-07
[27]
웹사이트
NAM XII Summit: Basic Documents – Final Document: 1 Global Issues
https://web.archive.[...]
1998-09-02
[28]
웹사이트
NAM summit will raise Iran's profile in the international arena
https://archive.toda[...]
[29]
웹사이트
NAM summit kicks off in Tehran
https://web.archive.[...]
[30]
뉴스
Southern Africa: Media Briefing By Deputy Minister Ebrahim Ebrahim On International Developments
http://allafrica.com[...]
2012-08-15
[31]
뉴스
Class 12 Arts stream Political Science #crashcourse: Non-Aligned Movement explained
https://www.indiatod[...]
[32]
웹사이트
Venezuela seeks support from the Islamic world amid spat with US
https://www.efe.com/[...]
[33]
웹사이트
No:267/21, Information of the Press Service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 on the Mid-Term Ministerial Conference of the Non-Aligned Movement
https://mfa.gov.az/e[...]
[34]
웹사이트
The Non-Aligned Movement: Background Information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Zaire
2001-09-21
[35]
웹사이트
Meeting of the Ministerial Committee on Methodology of the Movement of the Non-Aligned Countries, Caratagena de Indias, May 14–16, 1996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Zaire
1996-05-14
[36]
웹사이트
NAM Summits
https://web.archive.[...]
Non-Aligned Movement
2019-04-06
[37]
뉴스
Suharto tops corruption rankings
http://news.bbc.co.u[...]
2004-03-25
[38]
웹사이트
The Profil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imor-Leste, 1974–1999
https://archive.toda[...]
Human Rights Data Analysis Group (HRDAG)
2006-02-09
[39]
서적
Arms Transfer Limitations and Third World Secur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0]
간행물
Multilateralism and the Non-Aligned Movement: What Is the Global South Doing and Where Is It Going?
[41]
간행물
Equity in Third World Relations: a third world perspective
[42]
문서
Final Document
http://www.nam.gov.z[...]
1998-09-02
[43]
문서
3162 (XXVIII) Question of Spanish Sahara. U.N. General assembly 28th session, 1973
http://daccess-dds-n[...]
United Nations
[44]
문서
XV Summit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of the Non Aligned Movement— Final Document
http://www.namegypt.[...]
2009-04-16
[45]
문서
Statemen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Development
http://espana.cubano[...]
2008-01-07
[46]
뉴스
Non-Aligned Nations Slam U.S.
https://www.cbc.ca/n[...]
CBC News
2006-09-16
[47]
웹사이트
Mission, Vission & Objective
http://csstc.org/v_k[...]
Non-Aligned Movement Centre for South-South Technical Cooperation
[48]
문서
NAC 11/DOC.1/Rev.3.
http://cns.miis.edu/[...]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Security Council
1995-10-20
[49]
웹사이트
Cent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Non-Aligned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http://www.namstct.o[...]
[50]
문서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and the Non-Aligned Movement Centre for South-South Technical Cooperation
2004-10-06
[51]
문서
Keputusan Menteri Luar Negeri Republik Indonesia tentang Susunan Dewan Direksi NAM CSSTC
2010-06-22
[52]
문서
Keputusan Menteri Luar Negeri Republik Indonesia tentang Pengangkatan Saudara Ronny Prasetyo Yuliantoro
2018-07-11
[53]
문서
Keputusan Presiden Republik Indonesia tentang Pengukuhan Penetapan Keanggotaan Indonesia pada Organisasi Internasional
2012
[54]
문서
Kontribusi Pemerintah RI tahun 2005 untuk PKTSS-GNB
Sekretaris Menteri Sekretaris Negara Republik Indonesia
2005-12
[55]
웹사이트
Gerakan Non-Blok
https://kemlu.go.id/[...]
Kementerian Luar Negeri Republik Indonesia
2014-01-28
[5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he Question of Palestine
https://www.un.org/u[...]
United Nations
1992-09-06
[57]
뉴스
Menteri Trenggono Ajak Negara-negara RPOA-IUU Perkuat Kerja Sama Berantas IUU Fishing
https://pressrelease[...]
Kontan
2021-08-11
[58]
뉴스
Indonesia Kirim Dua Tenaga Ahli Pertanian ke Myanmar
https://www.merdeka.[...]
merdeka.com
2018-12-09
[59]
뉴스
Kementan & NAM CSSTC Beri Pelatihan Melalui International Training
https://mediaindones[...]
mediaindonesia.com
2021-03-28
[60]
문서
NAM CSSTC Performance Report 2020
Non-Aligned Movement Centre for South-South Technical Cooperation
2020
[61]
웹사이트
Non-Aligned Movement Youth Organization UIA Yearbook Profile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https://uia.org/s/or[...]
2024-09-15
[62]
웹사이트
Hon. Gen. Odongo Jeje Abubakher Joins Inauguration of NAM Youth Organisation Headquarters NON-ALIGNED MOVEMENT (NAM)
https://nam.go.ug/ho[...]
2024-09-15
[63]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K. K Publication
2014
[64]
문서
Declaration on the occasion of celebrating Human Rights Day
http://espana.cubano[...]
[65]
웹사이트
Working Mechanisms NON-ALIGNED MOVEMENT (NAM)
https://nam.go.ug/wo[...]
2024-07-28
[66]
문서
The Non-Aligned Movement: Background Information 2.4.
http://www.nam.gov.z[...]
1998-09-02
[67]
웹사이트
Previous Summits
http://www.namegypt.[...]
2009-07-11
[68]
웹사이트
18th Summit of Non-Aligned Movement gets underway in Baku
https://en.president[...]
2019-11-30
[69]
웹사이트
NAM, G77 summits to boost tourism Parliament of Uganda
https://www.parliame[...]
2024-01-19
[70]
웹사이트
Museveni explains Uganda's selection to host NAM summit
https://www.monitor.[...]
2023-05-11
[71]
웹사이트
Excitement as world leaders converge in Uganda for NAM summit
https://www.dispatch[...]
2024-01-17
[72]
서적
The Non-Aligned Movement: Genesis, Organization and Politics (1927-1992)
https://brill.com/di[...]
Brill Publishers
2018-11-19
[73]
웹사이트
The Iran-Iraq War: The View From Baghdad
https://www.wilsonce[...]
[74]
웹사이트
The Iran-Iraq War
https://www.parstime[...]
[75]
뉴스
Iraq concedes non-aligned summit
https://www.upi.com/[...]
1982-08-11
[76]
웹사이트
Nesvrstani ponovo u Beogradu
http://www.rts.rs/pa[...]
[77]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s Message to Additional Commemorative Meeting of the Non-Aligned Movement –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Ban Ki-moon
https://www.un.org/s[...]
2011-09-05
[78]
웹사이트
Non-Aligned Movement is 'United Against Covid-19'
https://www.euractiv[...]
2020-05-05
[79]
웹사이트
Саммит Движения не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остоялся в формате Контактной группы по инициативе президента Азербайджана_Russian.news.cn
http://russian.news.[...]
[80]
뉴스
Non-Aligned Movement celebrates 60th anniversary in Belgrade
https://morningstaro[...]
2021-10-11
[81]
웹사이트
Castro elected President of Non-Aligned Movement Nations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6-09-16
[82]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
[83]
웹사이트
Cyprus and the Non – Aligned Movement
http://www.mfa.gov.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yprus
[84]
웹사이트
Final Document of the 7th Summit of the Non-Aligned Movement -(New Delhi Declaration)
http://www.namegypt.[...]
[85]
뉴스
Yugoslavia Casts Shadow over Non-Aligned Summit
https://www.independ[...]
1992-09-02
[86]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
[87]
웹사이트
XIV Ministerial Conference of the Non-Aligned Movement
http://www.nam.gov.z[...]
South Africa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88]
서적
Address of Prime Minister Indira Gandhi
https://ris.org.in/o[...]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India)
1973-09-06
[89]
웹사이트
Argentina Withdraws from Non-Aligned Movement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1991-09-20
[90]
웹사이트
Members and other Participants of NAM Movement
https://www.mea.gov.[...]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India)
n.d.
[91]
웹사이트
Tito's Non-Aligned Movement hits 60. Is it still relevant?
https://emerging-eur[...]
Emerging Europe
2021-10-15
[92]
웹사이트
China's foreign policy is rooted in non-alignment - China.org.cn
http://www.china.org[...]
[93]
웹사이트
Croatia to participate in Non-Aligned Movement conference
https://www.tportal.[...]
T-portal
2011-04-11
[94]
웹사이트
There is life in the Non-Alignment Movement yet
https://www.lowyinst[...]
The Interpreter
2021-10-25
[95]
웹사이트
Russia receives observer status in Non-Aligned Movement
https://tass.com/pol[...]
TASS
2021-07-14
[96]
웹사이트
Russia gets observer status to Non-Aligned Movement
https://thefrontierp[...]
2021-07-14
[97]
트윗
Russia attained observer status of the Non-aligned Movement last year
https://twitter.com/[...]
2022-02-25
[98]
학술지
The Crumbling Touchstone of the Vatican's Ostpolitik: Relations between the Holy See and Yugoslavia, 1970–1989
2021
[99]
웹사이트
The Non-Aligned Movement: Background Information 4.4.
http://www.nam.gov.z[...]
1998-09-02
[100]
웹사이트
The Non-Aligned Movement: Background Information 4.5.
http://www.nam.gov.z[...]
1998-09-02
[101]
웹사이트
非同盟諸国の動き - 外務省
https://www.mofa.go.[...]
[102]
비디오
Sri Lanka – Non Alignment Movement Summit 1976 6 Part video footage
http://lankapura.com[...]
[103]
웹사이트
Belgrade Declaration - Ratical.org
https://ratical.org/[...]
[104]
문서
Declaration in Commemoration of 25th Anniversary of the Non-aligned Countries
[105]
문서
제16회 비동맹국가 외상회의 개최 결과 요약
[106]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7
[107]
웹사이트
しんぶん赤旗(2016年9月17日)
https://www.jcp.or.j[...]
[108]
웹사이트
しんぶん赤旗(2019年10月28日)
https://www.jcp.or.j[...]
[109]
웹사이트
NAM Chairmen of the Non-Aligned Movement - worldstatesmen.org
http://www.worldstat[...]
[110]
웹사이트
NAM Member Countries - NAM CSSTC
http://csstc.org/v_k[...]
[111]
웹사이트
NAM membership - worldstatesmen.org
http://www.worldstat[...]
[112]
웹사이트
NAM Observer Countries - NAM CSSTC
http://csstc.org/v_k[...]
[113]
웹사이트
NAM Observer Organizations - NAM CSSTC
http://csstc.org/v_k[...]
[114]
웹사이트
Guest Countries - NAM CSSTC
http://csstc.org/v_k[...]
[115]
웹사이트
Fidel Castro speech to the UN in his position as chairman of the nonaligned countries movement 12 October 1979
http://lanic.utexas.[...]
1979-10-12
[116]
논문
Equity in Third World Relations: a third world perspective
1995
[117]
서적
Land and Maritime Zones of Peace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18]
웹사이트
NAM Members & Observers - 16th Summit of the Non-Aligned Movement
http://www.nam.gov.i[...]
2012-08-26
[119]
웹사이트
Non-Aligned Movement (NAM)
http://www.worldstat[...]
2012-09-04
[120]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
2001
[121]
뉴스
Argentina Withdraws from Non-Aligned Movement
http://www.apnewsarc[...]
1991-09-20
[122]
웹사이트
Cyprus and the Non – Aligned Movement
http://www.mfa.gov.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yprus
[123]
웹사이트
XIV Ministerial Conference of the Non-Aligned Movement
http://www.nam.gov.z[...]
South Africa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124]
웹사이트
The Non-Aligned Movement: Member States
http://www.nam.gov.z[...]
1998-09-02
[125]
웹사이트
Final Document of the 7th Summit of the Non-Aligned Movement -(New Delhi Declaration)
http://www.namegypt.[...]
2016-09-18
[126]
뉴스
Yugoslavia Casts Shadow over Non-Aligned Summit
http://www.independe[...]
1992-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